livingartist의 법률아카이브

logo

법률 아카이브

예술같은 법률정보를 제공합니다

게시판 보기

Mar 19, 2025

약혼해제, 결혼을 앞두고 찾아온 선택의 기로

결혼 전 약속, 지킬 수 없다면 법적으로 어떤 문제들이 생길까?

며칠 전 한 여성분이 제 사무실을 찾아오셨습니다. 눈에 띄게 초조해 보이던 그분은, 저에게 조심스레 입을 열었습니다. 곧 결혼을 앞두고 있지만 상대방과 결혼생활을 지속할 수 없겠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는 것이었습니다. 문제는 약혼까지 마친 상태라, 단순히 헤어지겠다고 통보하는 게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 아닌지, 혹시 위자료나 손해배상 청구를 당하지 않을지 걱정이 크다고 하셨습니다.

결혼은 사랑의 결실인 동시에 법적으로도 책임이 따르는 계약입니다. 그런데 그보다 한 단계 전인 '약혼' 역시 민법상 법적 효력이 인정되는 계약이라는 사실, 많은 분들이 간과하시곤 합니다.

오늘은 제가 상담했던 의뢰인 사례를 바탕으로, 약혼해제 시 어떤 법적 쟁점이 있는지, 특히 위자료 문제는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약혼이란 무엇인가?

법적 효력 있는 '혼인 예약 계약'
민법 제802조에서는 약혼을 혼인에 대한 예약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결혼하자"는 구두 약속이 아니라, 정식 혼인을 전제로 한 법적 계약 관계로 인정되는 것이죠.
따라서 약혼 후 일방적으로 파혼하거나 해제할 경우, 상대방에게 재산상 또는 정신적 피해를 입혔다면 손해배상, 위자료 청구가 가능해집니다.

실제로 의뢰인도, 본인이 먼저 결혼을 깨자 상대방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하고 계셨습니다.

2. 약혼해제가 가능한 사유

정당한 해제 사유가 있다면 법적 책임은 제한됨
법원은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는 경우, 약혼해제를 정당하게 인정합니다.

• 상대방의 부정행위 (외도, 이중 약혼 등)
• 폭력, 폭언, 심각한 인격적 모욕
• 약혼 당시의 거짓말 (재산, 가족 관계, 직업, 병력 등)
• 성격 및 가치관의 극단적 불일치
• 범죄 사실, 심각한 건강 문제의 은폐

약혼해제, 이혼전문변호사

저희 의뢰인 사례에서도, 상대방이 재정 상황에 대한 거짓말을 해왔고, 대화 과정에서 반복적인 폭언과 인격 모독이 발생했던 사실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문자, 녹취 등 명확한 증거를 확보해 둔 상태였고, 이 부분은 정당한 해제 사유로 충분히 법적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3. 약혼파기 위자료와 손해배상, 언제 청구될까?

위자료 청구의 기준과 실제 사례
의뢰인께서 가장 걱정하셨던 부분이 바로 “내가 파혼을 통보하면 위자료를 줘야 하나요?”였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정당한 사유 없이 일방적으로 약혼을 파기할 경우 위자료 및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위자료란, 파혼으로 인해 상대방이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해 배상하는 금액입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재산적 손실 부분도 손해배상 청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결혼 준비비용 (예식장 예약금, 웨딩촬영비 등)
• 예단, 예물 비용
• 신혼집 계약금
• 기타 약혼으로 인해 지출한 비용

3.1. 실제 사례

한 사건에서는, 약혼자가 아무런 정당한 사유 없이 결혼 두 달 전 약혼을 일방적으로 해제했고, 상대방은 준비해온 결혼 비용 약 2000만원과 위자료 700만원을 청구해 법원에서 일부 인정된 바 있습니다.

반대로, 정당한 사유가 명백한 경우(폭행, 부정행위, 거짓말 등)에는 약혼해제를 통보한 측이 위자료나 손해배상 청구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의뢰인의 경우, 상대방의 거짓말과 폭언은 정당한 해제 사유로 인정될 여지가 충분했기에, 저희는 오히려 상대방의 책임을 입증할 자료를 바탕으로 대응 준비를 했습니다.

4. 약혼해제 시 필수 확인 사항

이혼전문변호사가 조언하는 대응 전략

4.1. 해제 사유 관련 증거 확보

상대방의 잘못(거짓말, 폭언, 부정행위 등)에 대한 문자, 녹음, 사진 등 증거 확보.

4.2. 금전적 거래 명확히 정리

예단, 예물, 결혼 준비 비용 등 정확히 정리해 둘 것.

4.3. 감정적 대응 자제, 기록 남기기

대화 내용, 파혼 통보 시점 등을 법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정리.

4.4. 전문가 상담

약혼해제 통보는 무턱대고 하지 마시고, 이혼변호사 상담 후 상황에 맞는 대응 전략을 세우세요.

4.5. 필요시 내용증명 발송

법적 분쟁이 예상될 경우, 해제 사유 및 입장을 공식적으로 남기는 방법.

5. 변호사의 조언: 감정보다 법적 절차가 우선입니다

결혼을 앞두고 약혼해제를 고민하는 상황, 분명히 감정적으로도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혼전문변호사로 수많은 사례를 접한 결과, 감정적 대응으로 문제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특히 약혼해제는 감정적 문제로 끝나지 않고,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기에 반드시 변호사의 조언을 토대로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의뢰인도, 충분한 증거를 갖춘 뒤 법적 절차에 맞춰 대응했기에 더 이상 불필요한 법적 다툼 없이 상황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